1. 학습하기
-
신입 기획자의 역기획 : 네이버 블로그 (1)1. 학습하기 2024. 8. 27. 18:00
기획을 공부하면서 가장 재미있었던 것은 역기획이었다.이미 만들어진 서비스를 거꾸로 들여다보며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에 대한 탐색과 생각을 해보는 시간이었다.현재 상태는 현재까지의 최선의 선택이라는 원칙 아래에서 단순히 UI/UX의 분석에서 끝나지 않고서비스의 구조와 수익 프로세스, 왜 이런 의사결정을 했을지 깊게 고민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역기획 내용을 공부하면서 혼자 노션에 정리한 내용을 부끄럽지만 공유해보려고 한다.최대한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고 뇌피셜이라도 많은 생각을 해보는 것을 목표로 했다.역기획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피드백을 받는 것인데, 댓글로 피드백을 남겨준다면 더 감사할 것 같다.우선 역기획이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자. 역기획이란 이미 기존에 존재하는 서비스를 보면..
-
초보자가 공부한 실무 엑셀 기능 및 단축키1. 학습하기 2024. 7. 30. 16:21
개발자 할 때는 굳이 자격증이 필요 없다고 생각했는데문서 작업이 필수인 기획자를 하려니까 슬슬 자격증이 욕심이 난다.생각난 김에 움직이자고 바로 교보문고에 가서 실무 엑셀 책부터 샀다.책에 나온 예제와 동영상 강의를 하나씩 따라해보니까 재미도 있고 아 이렇게 슥슥 하는 거였구나 싶다.엑셀은 정말 마이크로소프트의 역작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빠르게 손에 익히고 많은 기능을 배워서 어서 빨리 어엿한 실무자가 되어야겠다.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실무" 엑셀이다.정말 초보 엑셀 사용자로써 새롭게 알게된 신기한 기능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다뤄보려고 한다.오빠두엑셀 님의 책과 강의를 참조하여 한 챕터씩 공부한 후 내용을 정리한다.1. 기본 설정하기1) 일반 글꼴 변경하기[파일] 탭에서 [옵션] 클릭하여 'Exce..
-
서비스 기획 (4) UI와 UX1. 학습하기 2024. 7. 25. 12:54
[1. 학습하기] - 기획자의 역량과 태도, 직무 이해하기 기획자의 역량과 태도, 직무 이해하기기획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나름대로 한 번 정리해보기로 했다.기획에 필요햔 역량부터 프로세스, 역기획 과정까지 기획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될 것 같다.혼자 노션에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managemylife.tistory.comUX is focused on the user’s journey to solve a problem, UI is focused on how a product’s surfaces look and function.이제는 너무 익숙해진 그 단어 UX/UI.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눈높이가 높아지고 더 편리하고 좋은 서비스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지금,사용자 만족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
-
서비스 기획 (3) 사용자와 서비스 분석하기1. 학습하기 2024. 7. 24. 12:18
[1. 학습하기] - 기획자의 역량과 태도, 직무 이해하기 기획자의 역량과 태도, 직무 이해하기기획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나름대로 한 번 정리해보기로 했다.기획에 필요햔 역량부터 프로세스, 역기획 과정까지 기획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될 것 같다.혼자 노션에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managemylife.tistory.com우리가 만드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디지털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아주 익숙하기 때문에, 기능 자체보다 사용자 경험에 대한 기대치가 높다. 낮은 사용자 경험으로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유를 충족시킬 수 없다면 다른 서비스로 이탈할 수 있다. 만족할만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서비스를 더욱 사용하게 만드려면, 사용자와 서비스에 대한 분석은 필수적이다.사용자 경험에 대한 리서치, 유저 리서치..
-
서비스 기획 (2) 마켓 리서치1. 학습하기 2024. 7. 23. 12:00
[1. 학습하기] - 기획자의 역량과 태도, 직무 이해하기 기획자의 역량과 태도, 직무 이해하기기획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나름대로 한 번 정리해보기로 했다.기획에 필요햔 역량부터 프로세스, 역기획 과정까지 기획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될 것 같다.혼자 노션에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managemylife.tistory.com서비스 기획의 두 번째 과정, 마켓 리서치리서치의 모든 업무의 기본이며 촘촘한 기획과 실행의 밑단에서 핵심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리서치를 통해 새로운 사업, 서비스 출시에 필요한 당위성을 찾고, 변화하는 시장 환경을 파악해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다.리서치 영역에서의 차별화는 '시간 투자', '자료 검색과 수집', '데이터 분석' 능력에서 결정된다고 한다.어느 깊이까지 자료를 ..
-
서비스 기획 (1) 문제 발견 및 기회 창출하기1. 학습하기 2024. 7. 22. 12:00
[1. 학습하기] - 기획자의 역량과 태도, 직무 이해하기 기획자의 역량과 태도, 직무 이해하기기획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나름대로 한 번 정리해보기로 했다.기획에 필요햔 역량부터 프로세스, 역기획 과정까지 기획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될 것 같다.혼자 노션에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managemylife.tistory.com저번 포스팅에서 서비스 기획의 주요 업무를 간단하게 살펴보았는데, 다음 항목들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서비스 기획의 첫 번째 과정, 문제 발견 및 기회 창출이다.모든 것을 고객의 ‘페인 포인트’에서 시작해야 한다. 서비스 기획은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전반적인 설계 과정이다. 즉, 문제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으면 기획은 잘 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서비스 기획의 첫 번째 과..
-
기획자의 역량과 태도, 직무 이해하기1. 학습하기 2024. 7. 18. 10:42
기획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나름대로 한 번 정리해보기로 했다.기획에 필요햔 역량부터 프로세스, 역기획 과정까지 기획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될 것 같다.혼자 노션에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 포스팅으로 가공하면서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 서비스 기획, PM 직무와 역할서비스 기획자와 PM(프로젝트/프로덕트 매니저)의 개념은 같은 듯 다르다.디지털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업무와 요구되는 역량이 구체화되며 서비스 기획, PM, PO 등의 다양한 직무가 탄생하게 되었다.두 직무 모두 프로덕트의 가치를 극대화 하는 방향과 방법을 찾아 실현해 내는 사람으로 문제 도출-구체화-운영의 업무를 수행하지만 구성되어 있는 조직의 규모와 역할, 프로덕트의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업무가 조금씩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