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번역]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10가지 유용한 지침카테고리 없음 2025. 3. 24. 22:00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10가지 유용한 지침 요약: Jakob Nielsen의 상호작용 디자인에 대한 10가지의 일반적인 원칙. 구체적인 사용성 지침이 아닌 광범위한 경험적인 규칙이기 때문에 '휴리스틱'이라고 부릅니다. 1. 시스템 상태의 가시성 디자인은 항상 합리적인 시간 내에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려야 한다. 사용자가 현재 시스템 상태를 알아야 이전 상호작용의 결과를 파악하고 다음 단계를 결정한다. 예측 가능한 상호작용은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형성한다. #1 예시: 쇼핑몰 지도의 "현 위치" 표시는 사람들이 현재 어디에 있는지 보여주며 그들이 어디로 가야 할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팁- 시스템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한다 ..
-
서비스 기획 (1) 문제 발견 및 기회 창출하기1. 학습하기 2024. 7. 22. 12:00
[1. 학습하기] - 기획자의 역량과 태도, 직무 이해하기 기획자의 역량과 태도, 직무 이해하기기획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나름대로 한 번 정리해보기로 했다.기획에 필요햔 역량부터 프로세스, 역기획 과정까지 기획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될 것 같다.혼자 노션에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managemylife.tistory.com저번 포스팅에서 서비스 기획의 주요 업무를 간단하게 살펴보았는데, 다음 항목들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서비스 기획의 첫 번째 과정, 문제 발견 및 기회 창출이다.모든 것을 고객의 ‘페인 포인트’에서 시작해야 한다. 서비스 기획은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전반적인 설계 과정이다. 즉, 문제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으면 기획은 잘 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서비스 기획의 첫 번째 과..
-
[리뷰] 책 기획의 정석 / 저자 박신영2. 정리하기 2024. 7. 19. 12:15
기획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요즘은 책을 읽고 있다.이 책은 기획하는 사람이라면 아마도 한 번쯤은 보았을 것 같은데 국내 기획 분야에서 최장기간 베스트셀러를 기록한 책이라고 한다.나 같은 초보 기획자를 위한 책이라 그런지 10가지 습관을 생활 속 예제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술술 읽혔다.Topic: Focus 기획이 기억되려면기획자는 자신의 의도가 무엇인지에 취할 게 아니라, 상대방 머릿속에 무엇이 그려졌냐를 객관적으로 예상해보는 게 중요하다.기획자는 기획 시작부터 상대에게 무엇을 기억시킬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어떤 강의나 칼럼에서도 늘 강조되었던 부분이 기획자가 아닌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기'였다. 모든 과정과 의도를 이미 알고 있는 나의 입장이 아니라 실제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하는 ..
-
짧은 자기소개와 새로운 시작0. 생각하기 2024. 7. 17. 16:57
개발자였지만 이제는 기획자로 입시를 준비하면서 논술 선생님한테 이런 질문을 받은 적 있다.만약 지금 공부하는 개발이 너무 힘들다면? 개발자가 적성에 맞지 않는다고 느끼면 그때는 어떻게 할 거니?컴퓨터, 개발, 프로그래밍중학생 때부터 생각해 온 나의 진로가 만약 적성에 맞지 않는다면?19살의 나는 당돌하게도 "그럴 일은 없다. 나는 잘 해낼 것이다."라는 식으로 답했다.직무에 대한 고민을 계속 하면서 그 때의 질문에 자꾸 머릿속에 맴돌았다.돌이켜보면 개발자보다는 기획자가 더 적성에 맞았던 것 같은데 선생님은 나의 그런 모습을 알고 계셨던 걸까. 소프트웨어학과를 졸업하고 개발자로 일을 시작했지만 1년 간의 직장생활 후 기획자로 이직을 준비하고 있다.개발이 힘들거나 재미없어서 보다는 단순히 기획자가 되고 싶어..